티스토리 뷰
콘크리트 유토피아 모든 것이 무너진 건물
2014년부터 연재된 김숭늉 작가의 인기 웹툰 만화 유쾌한 왕따의 2부에 나오는 유쾌한 이웃을 원작으로 새롭게 영화적으로 각색한 작품입니다. 소재 자체가 나름 신선해 보이지만 디스토피아 세계관에서의 상당 부분 답습한다는 점은 아쉽기도 합니다. 살아남기 위해 식량을 찾는 과정과 이를 두고 펼쳐지는 인간의 갈등을 보는 모습에서 시사하는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국 땅에서 대지진으로 폐허가 된 서울 지역, 유일하게 남은 '황궁아파트'로 생존자들이 모여들며 시작되는 이야기를 그린 재난 스릴러 영화로 모든 콘크리트를 쓸어버리 폐허가 된 도시를 배경으로 아파트 안과 밖에 살아남은 이들의 사투를 그리는 작품으로서 한국의 재난 영화이다. 엄태화 감독이 연출하고 이병헌, 박서준, 박보영 배우가 주연으로 호흡을 맞췄습니다. 제작보고회와 기자간담회에서 이야기로는 배우들이 촬영 중 가장 힘들었던 점은 영화의 배경이 겨울로 극한의 추위와 생존을 이어가는 사람들을 그려내야 했는데 실제 촬영은 찐 여름에 촬영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가장 뜨거운 날씨에 배우들은 겨울 의상을 입고 추위가 아닌 더위와의 치열한 사투를 벌여야 했다고 합니다. 완벽한 겨울이라 여겨지는데 한 여름에 촬영했다는 것이 믿기지 않고 스텝들은 작은 소품 하나에서부터 인물의 심리에 따라 변화하는 색감까지 아주 작은 디테일도 세심하게 보입니다.
하루아침에 폐허가 된 서울 민낯과 욕망과 계급
극한의 상황에서 드러나는 인간 본성에 대한 예리한 시각을 담아냈다는 평이 많습니다. 다양한 인간상을 바탕으로 공존과 공멸 사이에 놓인 인간이 어떤 선택을 하는지 공감을 주게 됩니다. 진도 9 이상을 아우르는 대지진으로 하루아침에 폐허가 된 서울입니다. 재난은 발생했고 사람들은 아직 체념하거나 적응하지 못했기에 생존에 더 적극적입니다. 모든 것이 무너지고 황궁동 황궁 아파트 103동만 온전한 모습으로 살아남았습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아파트의 소유자들이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애쓰는 이야기입니다. 처음에는 그저 생존을 위했던 것들이 어느새 타인을 배척하고 우리의 안위를 위한 이기심으로 변동됩니다. 소문을 들은 외부 생존자들이 황궁 아파트로 몰려오자 위협을 느끼는 입주민들이 생존을 위해 하나가 된 그들은 새로운 주민 대표 영탁을 중심으로 외부인의 출입을 철저하게 막고 아파트 원주민만을 위한 새로운 규칙을 만들게 됩니다. 하지만 생존의 의기 속에서 예상치 못한 갈등이 시작되며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가족주의를 근간으로 한 한국 사회의 욕망과 계급이라는 민낯을 재난이라는 생존의 이야기를 통해 드러내어 흥미롭기까지 합니다. 실제 내가 저 아파트 주민이 아닌 다른 생존자였다면 어땠을까 하며 생각해서 보던 영화입니다. 재난영화가 아니더라도 현재 생활에서도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살아남은 자들의 생존 이야기
이 영화에서 아파트의 입주민을 제외한 인간들을 외지인이라 부르면서 경계를 짓고 내쫓는 황궁 아파트 주민들의 모습은 현재 한국 사회를 잠식하고 있는 차별과 계급의식을 보여준다. 특히 이 영화에서 황궁 아파트의 주민대표가 된 후 아파트를 사수하기 위해 괴물이 되어가는 영탁 역을 맡은 배우 이병헌이 아무도 없는 너의 아파트라는 가사가 담긴 노래 아파트를 부르는 얼굴은 사랑하는 가족을 잃어버린 가장의 슬픔과 공허함을 담아내어 인상적입니다. 이밖에도 가족을 지키기 위해 영탁의 일을 따르며 아파트에서 살아남으려는 남편 민성과 외지인을 도우며 인간성을 잃지 않는 아내 명화의 모습이 대비되는 장면들은 극한의 재난이라는 상황에서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를 질문합니다.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마지막 장면은 재난 후의 디스토피아 세계관에서 아파트라는 욕망의 장소보다 중요한 것은 인간이 함께 평등한 존엄을 누리는 연대의 아름다운 힘이라는 진실을 깨닫게 하여 묵직한 여운을 남깁니다. 영화 전체를 놓고 보면 시나리오 완성도는 높은 편입니다. 대지진이 발생하는 서울을구현한 스펙터클한 장면이 액션과 공포스러움과 유머를 적절히 배합해 긴장감의 완급을 조절하는 감독의 연출력이 돋보이는 영화입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재난 이후 평범한 우리네 이웃들에게 펼쳐질 수 있는 현실을 잘 그려낸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전반적인 영화는 다소 무겁고 어두운 현실을 직시하게 할 것입니다. 단순한 재미를 기대하고 상영관에 왔다면 실망할 수도 있겠지만 대신 영화를 보고 생각의 길을 여는 과정을 즐긴다면 만족할 수 있다고 보입니다. 내가 가진 것을 지키기 위한 사투라고 생각된다. 어느 재난 영화나 그렇듯 마지막은 모든 것은 무너지더라도 다시 새롭게 만들어 가는 세계를 다시 시작합니다. 영화관을 나오면 다시 원래의 세계로 변하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습니다.